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56

혈당 잡는 여주의 효능과 먹는법 !!! 평소에 공복혈당 수치가 높아 건강에 좋은 차를 찾던 중 알게된 여주 혈당관리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많이 들어본 식품 중에 하나인 여주는 카란틴 성분때문에 쓴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식물, 그 중 식물성 인슐린이 풍부하여 혈당 조절 작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. 100g당 탄수화물 3.70g, 지방 0.17g, 단백질 1.00g, 식이섬유 3.20g, 수분 94.00g, 비타민C 84.00mg 등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다. ▶원산지◀ 정확한 지역은 알 수 없으나 인도로 추정된다. ▶재배지역◀ 아시아의 열대, 동아프리카, 남미 일대, 인도 등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하며 특히 중국, 인도, 말레이시아 등에서 널리 심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가끔 재배한다.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우.. 2021. 1. 3.
Balance function - Vestibular system ; 하나의 뇌 영역만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, 여러 신경영역들의 기능들이 통합되면서 조절 ; 침범되는 영역에 따라 다양한 평형기능 장애와 임상증상이 나타남 ; 균형 결여 -> 현기증과 어지럼증, 흔들거림, 낙상 etc.. • 평형 기능에 관여하는 신경계 ; 체성감각, 운동신경계, 전정신경계, 시각신경계, 고유감각신경계 # 평형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-> 전정신경계 • 전정 신경계(Vestibular system) - 중추전정계 - 말초전정계 -> 3개의 반고리관(머리의 회전의 변화를 감지), 이석기관 – 난형난/구형난(중력 및 머리의 선형가속을 감지) # 내이도에 위치한 말초기관 -> 머리의 회전과 선형가속도의 움직임을 감지 -> 중간뇌뒤판에 위치한 .. 2020. 12. 29.
레트증후군(Rett's syndrome) ※ 요약 - X 염색체 연관성 우성 질환으로 여자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질환 ▶정의◀ → 1966년 독일의 안드레아스 렛(Andreas Rett) 박사가 처음 임상적으로 환자를 기술, 1999년 주요 원인 유전자인 MECP2 유전자의 이상이 병의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유전자 진단이 가능하게 됨 → 주로 여아에게 나타나며, 드물게 남아에게도 나타나는 신경계 발달 질환, 여아 10,000 ~ 15,000명당 1명 ▶원인◀ →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MECP2 단백질을 지정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추정 → X-linked 우성 유전패턴이라고 추정 ▶증상◀ - 1세 이전에는 정상 발달을 보이다가 이후 언어와 운동 발달이 멈추거나 퇴행을 보이는 것이 특징 - 서서히 머리의 크기가 작아져 2~5세 머리 둘레가 작아.. 2020. 12. 26.
Postural tone (자세 긴장도) 란??? Postural tone(자세 긴장도) ☞ 안정성과 이동성의 적절한 결합 (Appropriate combination of stbility and mobility., Dr. Sherrington, 1947) ☞ 신경 + 비신경성의 구성요소 (Neural + Non-neural component) ▶ 근육의 시작과 끝에 얼마만큼 힘으로 당기고 있는지에 따라 긴장도는 높다 낮다로 이야기할 수 있다. ▶ 적절한 긴장도란 중력에 대항하여 우리의 신체를 수직으로 세워 자세를 적절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우리의 신체의 움 직임을 부드럽게 움직여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(Increasing muscle tones of each muscle regarding to maintain posture or movement agai.. 2020. 12. 23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