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ural tone(자세 긴장도)
☞ 안정성과 이동성의 적절한 결합 (Appropriate combination of stbility and mobility., Dr. Sherrington, 1947)
☞ 신경 + 비신경성의 구성요소 (Neural + Non-neural component)
▶ 근육의 시작과 끝에 얼마만큼 힘으로 당기고 있는지에 따라 긴장도는 높다 낮다로 이야기할 수 있다.
▶ 적절한 긴장도란 중력에 대항하여 우리의 신체를 수직으로 세워 자세를 적절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우리의 신체의 움
직임을 부드럽게 움직여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
(Increasing muscle tones of each muscle regarding to maintain posture or movement against the gravity properly)
★ 적절한 신체의 자세 긴장도를 유지하지 못하면??
☞ 인간의 신체를 바로 세우지 못하면 정렬 상태에서 벗어나는 축의 변화로 인해 움직임을 갖을려고 할때 신체의 먼
쪽에 더 많은 힘과 높은 긴장도가 요구된다
Normal postural tone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
Level of arousal, Feedback, Feedforward, Perception, Cognition, Proprioceptive, cutaneous, Muscle properties etc...
Ex) Arousal level↓ → Postural tone↓ / Arousal level↑ → Postural tone↑
BOS↑, COG ↓ → Postural tone↓ / BOS↓, COG ↑ → Postural tone↑
Postural tone ↓ → Stability↑, Mobility↓ / Postural tone ↑ → Stability↓, Mobility ↑
'나혼자 STUDY > 소아(Pediatric)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기 성장 발달 계산기, 성장도표 산출 (0) | 2020.12.04 |
---|---|
태아 발달 (Fetal development) / 임신 1주~10주 (0) | 2020.10.05 |
Fetal Development(태아 발달) (0) | 2020.06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