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나혼자 STUDY44

프라더-윌리 증후군 (Prader-Willi Syndrom, PWS) ※ 요약 - 15번 염색체 이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유전질환 ▶정의◀ 1956년에 프라더, 레브라트, 윌리(Prader, Labhart, Willi)에 의해 처음 보고된 유전 질환발생 비율은 출생아 10,000명 ~ 15,000 / 1, 남녀 발생률은 비슷.특징 - 작은 키, 비만, 과도한 식용, 근긴장 저하, 발달 장애, 지능 장애, 작은 손발, 성장호르몬 결핍증, 시상하부성 생식샘 저하증 등이 나타남 아직까지 완전한 치료제는 없음 ▶원인◀ - 15번 염색체 중 일부분(15q11-13)에 이상이 생겨 발생. → 75% -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15번 염색체(15q11-13)의 미세 결실이 원인→ 25% - 염색체의 결식 없이 부모로부터 각각 한 개씩 유전되어야 하는 15번 염색체 2개가 모두 어머니로부터.. 2020. 11. 23.
막전위의 변화 막전위의 변화 - 신경과 근육의 기능을 결정하는 생리학적 현상 *나트륨-칼륨 펌프, 이온통로* 1. 나트륨-칼륨 펌프(sodium-potassium pump) ; 모든 살아 있는 세포는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세포액, 세포외액, 즉 간질액 사이에 그 구성성분이 있어 현저한 차이를 나타냄 - Na+(나트륨이온), K+(칼륨이온)이 가장 뚜렷한 차이를 나타냄 - 세포막은 반투과성 막 -> 작은 구멍을 통하여 전해질의 이동 어느 정도 가능(Na+ -> 세포안 / K+ -> 세포바깥)으로 누출 -> BUT!! -> 축삭막의 나트륨-칼륨 펌프기전 때문에 -> 세포막 안에 있는 Na+ 밖으로 / 세포막 밖에 있는 K+ 안으로 이송시킴 - 펌프 작동시 ATP의 형태로 많은 양의 생물에너지가 필요(because, 이온을.. 2020. 10. 19.
태아 발달 (Fetal development) / 임신 1주~10주 참고문헌 : perinatology, Mark A Curran, M.D., F.A.C.O.G. 임신 1주차 & 2주차 마지막 월경 후 난포는 뇌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(FSH) 자극으로 난소에서 성숙. 난포의 발달에 의해 생성되는 estradiol은 황체 형성 호르몬(LH) 분비를 유발. LH는 난포에서 난자를 방출(배란) 28일 주기일 경우 13~15일에 발생 임신 연령 3주 & 배아 나이 1주 3주 동안 수정이 발생하면 수정란이 임신 호르몬(인간 융모생식샘 자극 호르몬)을 생산. 수정 후 6~14일(임신 3~4주) 사이에 모체의 혈액 or 소변에서 감지. 3주 동안 태아의 성별은 아버지의 정자에 의해 결정되며 쌍둥이가 형성 될수 있음. 피로, 붓기, 등등 임신의 첫 징후 발생. 임신 연.. 2020. 10. 5.
[용어정리] 근육활성의 유형, 근육의 작용 * 등척성(isometric activation) - 근육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당기는 힘을 생산할 때 내적인 토그 = 외적인토크 * 동심성(concentric activation) - 근육이 수축하면서(짧아지면서) 당기는 힘을 생산 내적인 토크 > 외적인 토크 * 편심성(Eccentric activation) - 근육이 더 좀 더 우세한 다른힘에 의해 길어지는 만큼 당기는 힘을 생산 내적인 토크 < 외적인 토크 * 작용근(agonist) - 특정 움직임의 시작과 실행에 가장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근육이나 근육 무리 * 대항근(antagonist) - 특정 장용근의 반대작용을 갖는 근육이나 근육 무리 * 협동근(synergist) - 특정 움직임이 실행되는 동안 서로 협력하는 근육들 2020. 9. 2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