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신체 중에서 흥분할 수 있는 조직은 근육과 신경 뿐
-> 전기 생리학적으로 적당한 자극에 의하여 활동전위를 형성한다는 뜻
활동전위 : 세포막의 전해질에 대한 투과력 변화로 막전위가 급격하게 변화여서 일시적으로 역전되는 상태를 의미(전위 폭의 감소 없이 세포막을 따라서 전달될 수 있다는 것)
전기자극을 어느 역지 이상 강하게 주면 탈분국이 급격하게 나타나면서 일시적으로 세포 안쪽이 양극으로 변화고 세포 밖이 음극으로 되는 전위의 역전을 보이는데 이것을 활동전위(일시적인 현상, 일정한 시군 후 막전위는 정상 안정막전위 상태로 돌아옴)
탈분극(depolarization) : 신경이나 근육의 세포막에 전기자극을 가하면 세포막의 안과 밖의 전위차가 감소하는 것
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소멸되어 원래의 안정막전위 -70~-90mV로 회복
재분극(repolarization) : 세포막 안쪽이 점차 음극화되는 것
과분극(hyper-polarization) : K+문이 충분히 오랫동안 열러 K+가 밖으로 이동하고 막전위는 몇msec동안 안정막전위 때보다 더 음극화(-75mV)되는 것
절대불응기(absolute refractory period) : 활동전위의 탈분극이 발생하고 소멸하는 기간
상대불응기(relative refractory period) : 재분극 기간 동아넹는 축삭을 전기 자극하면 활동전위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, 그러기 위해서는 보통보다 강한 자극이 필요한 기간
반응형
'나혼자 STUDY > 신경해부생리학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팔신경얼기(brachial plexus) - 긴가슴신경, 어깨위신경, 근육피부신경, 겨드랑신경 손상 (0) | 2020.12.15 |
---|---|
말초신경질환, 말초신경손상의 분류(Seddon의 분류법) (1) | 2020.12.08 |
안정막전위(resting membrane potential) (0) | 2020.12.03 |
신경계통 - 막전위의 변화 ( 나트륨-칼륨 펌프, 이온통로) (0) | 2020.12.02 |
막전위의 변화 (0) | 2020.10.1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