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안정막전위(resting membrane potential)
; 모든 세포는 안정기에서 세포 밖에 비하여 세포 안이 전기적으로 음극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
※ 미세 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
→ 근육 : -80~90mV
→ 신경 : -70mV
# 세포막을 경계로 안쪽이 음극으로 유지되는 이유??
☞ 세포막에 있는 나트륨-칼륨 펌프와 일부 항상 열려있는 K+통로 때문
나트륨-칼륨 펌프는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농도 차에 의하여 유입되는 Na+과 K+을 서로 교환하면서 퍼내기 때문에
세포 안쪽은 일정한 고농도의 K+를 유지
즉, 세포막의 일부 K+통로는 열려있는데 반해 Na+통로는 안정기에서는 막혀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K+이 농도 차에 의하여 세포 밖으로 유출되면서 이 과정에서 세포 안쪽의 음극화 현상이 나타남
반응형
'나혼자 STUDY > 신경해부생리학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말초신경질환, 말초신경손상의 분류(Seddon의 분류법) (1) | 2020.12.08 |
---|---|
활동전위(action potential) (0) | 2020.12.06 |
신경계통 - 막전위의 변화 ( 나트륨-칼륨 펌프, 이온통로) (0) | 2020.12.02 |
막전위의 변화 (0) | 2020.10.19 |
신경계통 - 운동단위의 분류 (0) | 2020.09.23 |
댓글